본문 바로가기
농·어업 계절근로 제도 개편 1. 공공형 계절근로자의 업무 범위 확대현재 공공형 계절근로자는 월급제로 운영되며, 폭염이나 장마로 인해 농가에서 일을 하지 못하더라도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농가에서 일이 없을 경우, 농협 등 공공형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 운영의 비효율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👉 개선 내용:농산물산지유통센터 등 공공형 운영 사업장 내에서 농산물 선별, 세척, 포장 및 1차 가공, 육묘 관리 등의 업무 수행 허용근로자별 총 근로시간의 30% 이내로 제한 2. 최저임금 보장 기준 변경기존의 최저임금 보장 기준은 체류기간의 75% 이상 근무한 경우였으나, 이를 시간 기준으로 변경하여 근로자의 충분한 휴식을 보장하고자 합니다.👉 개선 내용:최저임금 보장 기준을 '일수 기준'에서 '시간 기준'으.. 2025. 2. 7.
농작물재해보험 개편 및 가입 안내 농작물 피해를 대비한 2025년 농작물재해보험 개편 사항과 가입 방법을 확인하세요.1. 농작물재해보험 대상 확대2025년부터 농작물재해보험의 대상이 확대되어 총 76개 품목을 보장합니다.📌 신규 도입 품목녹두생강참깨📌 새로 추가된 품종·작형·재배기술품종: 참다래 골드원작형: 고랭지당근, 노지 풋고추재배기술: 사과 다축재배📌 전국 운영 품목 확대 (총 64개)전국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품목이 늘어났습니다.단호박, 당근, 브로콜리, 양배추, 호두차, 오디, 복분자, 살구 등 추가2. 보장 내용 강화📌 시설작물의 일조량 부족 피해 보장겨울철(12~3월) 동안 한 개 주기(30일) 내 누적 일조시간이 4시간 이하인 날이 15일 이상일 경우 보상됩니다.📌 수확량 보상 품목 확대기존 품목에 더해 총 43.. 2025. 2. 6.
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행 안내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및 이력관리제 시행 내용을 확인하세요.1.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행2025년 2월 17일부터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인증하는 제도가 시행됩니다.📌 기존 방식제작사가 스스로 배터리의 안전성을 인증📌 변경 사항정부가 직접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사전 인증진동, 열충격, 연소 등 12개 시험을 통과해야 인증 획득 가능안전성 인증을 받은 이후에도 적합성 검사 지속 진행2. 배터리 이력관리제 도입2025년 2월 17일부터 배터리 이력관리제가 시행됩니다.📌 배터리 이력관리제란?각 전기차 배터리에 고유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등록배터리의 제작 → 운행 → 폐차까지 모든 이력을 추적·관리3. 기대 효과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 강화 및 화재 .. 2025. 2. 6.
청년 월세 지원사업 신청방법 2025년 청년 월세지원 신청방법 1. 청년 월세 지원이란?정부가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청년에게 월세 일부를 지원하는 정책입니다. 2025년에도 계속 시행되며, 신청 기한은 2025년 2월 25일까지입니다.정부가 월 최대 20만 원 지원최장 12개월 동안 지급 (총 최대 240만 원 혜택)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 시 신청 가능2. 신청 대상 및 요건연령 기준신청일 기준 만 19~34세 청년병역 이행자는 복무 기간(최대 6년)만큼 연령 상한 연장 가능소득 및 자산 기준본인 소득: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 (2025년 기준 월 약 130만 원 이하)부모 포함 가구 소득: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(3인 가구 기준 약 480만 원 이하)재산 기준: 본인 9000만 원 이하, .. 2025. 2. 6.